2025. 4. 14. 01:25ㆍ카테고리 없음
안녕하세요, 오늘은 ADHD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작업치료 전략을 소개해보려 해요.
바로 CO-OP 접근법입니다.
이 방법이 실제로 젓가락질 같은 일상생활 활동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?
한 편의 예비연구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.

✅ CO-OP 접근법이란?
CO-OP는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의 줄임말로, 쉽게 말해 아이가 직접 문제를 인식하고, 계획하고, 시도하며, 결과를 점검하는 학습전략이에요.
핵심은 바로 이 네 가지 단계:
Goal – Plan – Do – Check
(목표 – 계획 – 실행 – 확인)
아이 스스로가 활동을 문제해결의 과정으로 풀어나가는 것이죠.
치료사는 이 과정을 코치하고, 동기를 이끌고, 전략을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.

🧠 연구 개요
연구는 ADHD 진단을 받은 만 7세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.
이 아동은 젓가락질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, 이를 개선하기 위해 CO-OP 접근법을 적용했어요.
📅 기간: 총 7주 (기초선 기간 2주 + 중재 기간 5주)
🎯 목표 활동: 나무젓가락으로 콩을 집어 옮기기
🧪 측정 방법:
- 수행 시간: 콩을 집어 다른 접시로 옮기는데 걸리는 시간
- COPM 평가: 보호자를 통한 수행도 & 만족도 평가

📊 결과는 어땠을까요?
정말 눈에 띄는 변화가 있었어요!
- 젓가락질 시간 평균 22.3초 > 평균 15.1초 7.2초 단축
- 수행도(COPM) 2점 > 5점 +3점 향상
- 만족도(COPM) 2점 > 6점 +4점 향상
🔍 특히 젓가락질 시간은 6회기 이후부터 명확한 향상이 나타나, CO-OP 전략이 실제 기술 습득과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.
💬 왜 효과가 있었을까?
1. 아이의 자발적 목표 설정: 아이가 직접 ‘젓가락질’을 목표로 선택
2. 문제해결 중심의 접근: 아이가 스스로 “왜 콩이 튀어나왔을까?”, “어디를 봐야 하지?”를 생각함
3. 보호자와의 협력: 모든 중재 회기 후 보호자 교육을 함께 진행해 일상으로의 전이가 가능

⚠️ 연구의 한계점은?
- 단 1명의 아동만을 대상으로 한 예비연구이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하기엔 한계가 있어요.
- ADHD 아동의 하위 유형(부주의형, 충동형 등)에 따른 효과 차이도 고려되지 않았습니다.

이번 연구는 CO-OP 접근법이 ADHD 아동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.
특히 인지능력은 양호하지만, 일상생활 동작에서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에게 CO-OP은 스스로 목표를 이루는 데 큰 힘이 될 수 있어요.
👉 앞으로 ADHD 아동에게도 놀이 중심, 전략 중심, 자율적인 치료 방법이 더욱 확산되길 기대해봅니다!